정인 양은 입양된 후 10개월 동안 학대를 받다 온몸에 멍이 든 채로 지난해 10월 13일 양천구 목동 한 병원 응급실에서 치료를 받다 숨졌다. (사진=SBS 방송화면 캡쳐) 

’부모 되기는 쉬워도 부모답기는 어렵다‘는 말이 있다. 자녀를 가진 어른들이 마땅히 가져야 할 책임의 무게를 심플하게 설명한 문장이다.

2021년 첫 이슈는 정인이라는 16개월짜리 어린아이다. 1살을 갓 넘긴 아이는 성인도 겪어보지 못했을 폭행을 당하고, 그렇게 죽어갔다. 양어머니 장씨는 정인이를 쇄골, 늑골이 부러질 정도로 상습 폭행해 숨지게 한 혐의(아동학대치사)로 구속기소됐으며, 양아버지 방씨는 아동복지법 위반 혐의로 불구속 기소됐다.

참담한 아동학대 사건에 일반인은 물론 정치인들까지 분개했다. 사건을 담당한 양천경찰서는 한때 홈페이지가 마비됐고, 양부모를 엄벌해 달라는 내용의 진정서도 폭주하는 상황이다.

입에 담기도 참담한 아동학대 사건이 일어난 게 이번이 처음은 아니다. 지난 2016년 부천에서는 한 부부가 7살 아들을 폭행해 살해하고 시신을 훼손해 유기한 사실을 적발당한 바 있다. 여중생이 아버지의 폭행으로 사망하고, 1년 뒤 백골로 발견된 사건도 있다.

두 사건이 발생한 2016년 당시 여당이던 새누리당의 원유철 원내대표는 “당정은 올해를 ’아동학대 제로의 해‘로 삼아 아동학대 근절에 최선을 다해야 할 것”이라며 대안 마련에 나섰다. 그러나 아동학대는 계속되고 있다. 지난해에는 동거남의 9살 아들을 여행용 가방에 가둬 숨지게 한 40대 여성이 덜미를 잡히기도 했다.

가정에서의 아동학대는 다른 아동범죄와는 결이 다르다. 아무리 제도적으로 제재하고 규제해도 허점이 생길 수밖에 없는 구조이기 때문이다. 모니터링을 아무리 강화한다 한들 가정이라는 개인적 공간을 정부가 모니터링하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미국은 부모의 아동학대나 방임을 예방하기 위한 제도적 제재와 함께 ‘널처링 패런팅 프로그램’ 등의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통해 부모교육 프로그램을 운영하고 있다. 이 프로그램은 부모에 일반적인 양육 지식을 가르치는 한편 가족의 특수한 문제에 대응해 맞춤형 교육을 제시해 가족구성원 간의 문제를 해소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세계적인 부모교육 프로그램 ‘인크레더블 이어스’는 0세부터 12세 사이 아동을 둔 부모를 대상으로 세분화된 교육을 실시한다. 아동학대 예방을 위한 부모의 훈육 방법, 지도 방법 등을 알려주는 이 프로그램은 미국에서 개발되어 20여개국에서 활용하고 있다.

해외에서 이같은 부모를 대상으로 한 프로그램이 주목받는 이유는 가정 내 부모 교육이 가정 회복의 해결책이기 때문이다. 아동폭력 가해자를 격리하는 후속대처만큼이나 아동폭력을 근절시키는 선제적 대응도 필수적이다.

결국 부모 스스로가 ’내 자녀를 학대해서는 안 된다‘는 사실을 인지하도록 하는 게 중요하다. 정부는 부모가 아이를 갖기 전부터 자식을 낳은 후까지 반복적인 교육을 통해 ’부모다운 부모‘가 되도록 방향을 제시해야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