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가 온라인 설문을 토대로 반려동물을 조사한 결과 서울시 5가구 중 1가구는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것으로 드러났다. 그중 85%는 반려견을 키우는 것으로 조사됐다. (서남투데이 자료사진)

서울시는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가 꾸준히 증가했다고 밝혔다. 지난 2014년 18.8%에서 2018년 20.0%에 도달해 서울에 사는 5가구 중 1가구에 이르고 있다.

반려동물의 종류는‘반려견’(84.9%)이 대다수를 차지한 가운데‘반려묘’와 함께 사는 가구 비율도 최근5년 새3.6%p증가(8.6%→12.2%)했다.같은 기간‘반려견’가구 비율은4.0%p감소(88.9%→84.9%)했다. ‘반려견’가구는 거주하는 주택형태나 가구원수와 관계없이 비슷한 비율을 보인 반면, ‘반려묘’는1인가구,월세 거주자에게서 상대적으로 높은 비율을 보였다.

반려동물을 기를 때 어려운 점은 반려동물 종류별로 차이를 보였다.반려견은“혼자두고 외출이 어렵다”(63%),반려묘는“배설물,털 등의 관리”(63.5%)를 각각 가장 우선으로 꼽았다.

반려동물을 기른 경험이 있는 사람의 약1/3(31.6%),경험이없는사람의12.7%가 향후 반려동물을 추가로 또는 새롭게 기를 의향이 있다고 응답했다.

10명 중9명(90.7%)은 유기동물 발생의 가장 큰 책임이‘무책임한 소유자’에게 있다고 응답했다.유기견(36.2%)에 비해 유기묘(47.2%)를 문제로 인식하는 비율이 더 높게 나타났다.

서울시가 서울시민의 반려동물의 보유실태와 생활환경,유기동물에대한 인식등을 파악하기 위한 조사‧분석을 실시,그 결과를 이와 같이발표했다.「2018년 서울 서베이 자료」와 서울시민1,000명을 대상으로 한‘온라인 조사’를 토대로 이뤄졌다.

반려동물과 함께 사는 가구가 꾸준히 증가하면서 새로운 가구 형태의 하나로 자리하고 있고,반려동물을 또 하나의 가족으로 인식하는 경우가 많아짐에 따라 반려동물에 대한 서울시민의 생각을 파악하기 위한 취지라고 설명했다.

서울시 반려동물 가구는 최근5년 간 매년0.24%p씩 증가, 2014년18.8%에서2018년20.0%에 도달했다.

반려동물은 대부분 반려견이지만,최근 증가율은 반려견보다 반려묘가 높았다.

서울시 가구에서 기르는 반려동물은 반려견(84.9%),반려묘(12.2%),반려견+반려묘(2.3%),기타(0.6%)순이었다.

반려견을 기르는 가구 비율은2014년보다4.0%p감소했으며('14년88.9%→'18년84.9%),반려묘를 기르는 가구 비율은3.6%p('14년8.6%→'18년12.2%)증가했다.

가구 특성별로 키우는 반려동물 유형을 보면 반려견은 주택형태,입주형태,가구원수에 관계없이 유사한 비율을 보인 반면,반려묘는“월세/기타”, “1인 가구”에서 기르는 비율이 높았다.

서울시민1000명을 대상으로 반려동물을 키우고 있거나 키운 경험이있는지 물은 결과69.2%가“있다”고 응답했다.반려동물을 키우게된 계기는“동물을 좋아해서”가62.0%로 가장 높았고, “가족 구성원이원해서”(44.9%), “또 다른 즐거움을 위해서”(28.9%)가 뒤를 이었다.

반려동물을 기를 때 어려운 점으로는“혼자두고 외출이 어렵다”가55.1%로 가장 높았다.이어“배설물,털 등의 관리가 어렵다”(54.6%), “양육 및 관리 비용 문제”(31.4%)순으로 나타났다.

반려동물을 한 번도 기른 적이 없다고 응답한 시민을 대상으로 그이유 물은 결과“관리가 힘들어서”가60.7%로 가장 높았다. “양육할자신이 없어서”(41.9%), “공동주택 거주”(25.3%)가 뒤를 이었다.

반려동물을 추가로 기를지 물은 결과 반려동물 경험자의 경우31.6%가 긍정적으로 응답한 반면,미경험자의 경우12.7%만이 긍정적으로 응답했다.

주변지역에 있는 유기동물에 대한 인식도 조사했다.유기동물 발생의가장 큰 책임은“무책임한 소유자”(90.7%)에게 있다고 보았고,유기견(개)보다 유기묘(고양이)를 문제로 인식하는 시민이 더 많았다.

한편,서울시는 이번 조사‧분석 결과처럼 시민들의 실생활과 관련한 주제와 이슈를 선정하고 시가 보유하고 있는 행정 빅데이터를 활용해 심층적‧객관적 통계분석 결과를 제공할 예정이다.

이원목 서울시 스마트도시정책관은“이번 조사‧분석결과를 보면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는 계속 증가할 것으로 예상되는데,서울시 또는 공공차원에서 반려동물을 기르는 가구에 대한 지원책 개발과 인프라 확충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할 예정”이라고 말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