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부는 11월 1일 서울 세빛섬에서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수소도시 2.0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정부는 11월 1일 서울 세빛섬에서 제7차 수소경제위원회를 개최하고 `수소도시 2.0 추진전략`을 발표했다.

이번 전략은 수소경제 확대와 친환경 에너지 전환을 목표로 수소도시의 개념을 전면 재설계하고, 기존 시범도시의 경험을 바탕으로 산업, 주거, 교통 전반에 걸쳐 수소 활용 범위를 확장하는 새로운 청사진을 제시했다.

이번 수소도시 2.0 추진전략에 따라 정부는 현재 운영 중인 6개의 수소도시 외에 신규로 양주, 부안, 광주동구 등 6개 도시를 추가 지정하여 총 12개 수소도시를 운영할 계획이다.

이들 도시는 블루수소와 그린수소 생산 및 유통 인프라를 구축하고, 수소배관을 2040년까지 280km 확충하여 도시 전반에 수소를 주요 에너지원으로 활용할 예정이다. 이와 함께 통합안전운영센터를 각 지역에 설립해 수소산업의 안전성을 확보한다.

정부는 수소도시 내 수소모빌리티 인프라를 강화하여 트램, 상용차, UAM(도심항공교통) 등 다양한 교통수단에 수소를 적용할 예정이다.

12대 수소도시 조성

또한, 기존의 일부 건축물 위주였던 수소연료전지 설치를 도시 내 모든 건축물로 확대하고, 산업단지와 문화·복지시설까지 수소 활용을 확대함으로써 도심 내에서 친환경 수소 생태계를 구축할 계획이다. 이를 통해 2040년까지 각 도시에서 사용되는 에너지의 10%를 수소로 공급하겠다는 목표를 세웠다.

정부는 수소도시 기술의 해외 확산을 위해 K-수소도시 현지화 기술 개발을 추진하고, 수소도시법 제정을 통해 제도적 기반을 마련할 방침이다.

이를 통해 수소 도시와 산업단지, 터미널, 모빌리티 등의 패키지 솔루션을 마련해 국제 시장 진출을 가속화할 예정이다.

국토교통부 진현환 제1차관은 “수소도시가 연간 75만 그루의 나무를 심는 효과를 낼 것으로 기대한다”고 밝혔다.

정부는 향후 민간 및 지자체와 협력하여 수소도시 2.0 추진을 통해 탄소중립 실현과 환경친화적 에너지 전환에 기여하겠다는 계획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