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he Psychology Times=황선미 ]
“옛다, 처먹어라” 하면서 서비스 계란후라이를 던져주는 욕쟁이 할머니에게 화를 내며 달려드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말하는 사람의 표면 메시지와 이면 메시지가 다른 것이 ‘이중 메시지’의 정의라면 할머니의 욕 속에 숨은 친절은 이중 메시지 중에서도 이중 메시지인데 기분이 나쁘기는커녕 재밌기만 하니 이상한 마음이다. 엄마의 이중 메시지에는 듣자마자 가슴이 답답해지는데 욕쟁이 할머니의 욕은 왜 괜찮은 걸까?
가족상담이 처음 태동한 시기는 1950년대로 그 전까지의 심리학은 한 사람의 내면에서 일어나는 현상만 볼 수 있고, 잴 수 있었다. 현대인이 가족의 문제라고 언급하는 대화, 친밀감, 교류 이런 단어들이 주류 상담이론으로 들어오게 된 건 그러니까 채 100년이 되지 않았다. 가족상담 연구의 초석이라고 볼 수 있는 Bateson등(1956)의 (원제: Toward a Theory of Schizophrenia)는 가족처럼 도망갈 수 없는 환경에서 ‘친절한 표면 - 거절하는 내면’이 상반되는 이중 메시지에 장시간 노출되는 경험이 한 사람에게 조현증을 일으킬 수도 있다고 주장하였다. 그렇다면 이중 메시지가 조현증의 원인일까? 우리 삶에 주어진 고통이 그렇게 단순하다면 참 편할 텐데 안타깝게도 70년 전에 발표된 관찰연구로 정신 증상과 원인의 인과관계를 추론하기에는 적합성의 오류가 따른다. 다만 부모의 이중 메시지가 지속될수록 자녀가 부모를 사랑하지도 떠나지도 못하게 되며, 미움과 죄책감 속에 속박된 환경은 마음의 병을 일으킬 만큼의 부정적 영향을 주는 것이 사실이다.
댓글을 작성하려면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