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 1년 서울에서 주택을 구매한 39세 이하 매수자 절반 이상이 ‘갭투자’에 나선 것으로 조사됐다.
국회 국토교통위원회 소속 천준호 더불어민주당 의원은 2020년 3월부터 2021년 7월까지 서울 지역 부동산 매매 자금조달계획서 19만3974건을 분석한 결과 이같이 나타났다고 22일 발표했다.
해당 기간 중 서울 주택의 평균 매수 가격은 7억9900만원인 것으로 나타났다. 투입된 자금의 총액은 약 155조원이었다. 자금조달 비중을 보면 부동산 처분대금이 57조원(36%), 임대보증금 34조원(22%), 금융기관 예금액 23조원(15%), 주택담보대출 18조원(11%), 그 밖의 차입금(가족 등 대출) 5조4000억원원(3.5%), 증여·상속 4조9000억원(3.2%) 순이었다.
39세 이하 매수자 비중은 33%(6만4185건)로 전체 거래의 3분의 1을 차지했다. 이들 중 절반 이상인 52%(3만3571건)가 자금조달계획에 ‘임대보증금 승계’를 적어냈다.
30대 이하 매수자의 평균 주택가격은 6억9700만원이었다. 이 중 임대보증금 조달이 1억9200만원(28%)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했다.
특히 30대의 매매건수는 5만3839건으로 전 연령대 중 가장 적극적으로 주택매수에 나선 것으로 파악됐다. 30대의 주택매수 평균가격은 7억4100만원이었고, 이 중 예금 등 자기자본은 3억2800만원으로 44%에 머물렀다.
주택 구매자금의 절반 이상인 56%는 임대보증금 승계(1억9000만원, 26%), 주택담보대출(1억3200만원) 등 ‘빚(차입금)’이었다.
20대는 1만134건의 주택을 매입했다. 평균 가격은 4억7200만원이었다. 연령이 낮을수록 보증금 승계 비율이 높아 20대의 갭투자 비중은 71%, 자금 중 보증금이 차지하는 비중은 절반에 가까운 43%(2억100만원)에 달했다. 20대 미만 주택 매수는 212건이었고, 97%가 갭투자였다.
댓글을 작성하려면로그인해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