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진기 경남대 명예교수·전 한국중재학회장] 아는 분의 친구가 여윳돈 수억 원을 라임 펀드에 가입하여 손해를 보게 되어 소송을 준비하는데, 변호사를 소개해 달라는 부탁을 받고 변호사를 소개해 준 적이 있다. 은행권 DLF, 신라젠, 라임, 옵티머스 등 근년에 들어 금융 사고가 다른 때보다 많고, 그 문제된 금액이 적지 않아서, 사람들의 금융에 대한 인식을 걱정하지 않을 수 없다. 가치투자에 관심을 가지고 있는 필자는 가치투자자도 이런 금융 사고에 쉽게 연루될 수 있는지에 대해서 의문이 든다.

부동산 투자도 여의치 않고 은행 이자율이 1~2%정도밖에 되지 않는 저금리 시대에, 원금도 보장해주고, 수익률이 최대 연 5~25%라고 하면 돈 많은 사람들은 귀가 솔깃해 질 것이다. 그러나 이런 고수익을 보장하는 파생금융상품이나 펀드의 구성 원리를 잘 모르는 일반 사람들은 가치투자의 창시자로 알려진 벤저민 그레이엄(Benjamin Graham) 교수가 말하는 미스터 마켓(Mr. Market)의 조울증 때문에 자신의 자산이 큰 손실을 입을 수 있다는 사실을 잘 알 수가 없다. 또 안다고 하더라도 VIP대접을 해주면서 절대로 안전하다고 안심시키거나, 어느 돈 많은 기관에서 대량으로 투자했다는 좋은 소식을 전해주면 대체로 안심하고 가입하게 된다. 아는 분의 친구도 이런 케이스에 해당된다.

주로 우리은행이 판매하여 2019년에 문제가 된 DLF(Derivative Linked Fund, 파생결합펀드)는 독일 10년물 국채금리가 -0.2% 이상이면 연 3~5% 수익을 보장하는 상품이었다. 하지만 -0.2%를 하회하면 0.1%포인트(p) 초과 하락할 때마다 원금의 20%씩 손실이 발생하고, 금리가 -0.7% 아래로 떨어지면 전액 손실을 보도록 구성되어 있었다. 언뜻 보면 안전하고 좋은 구성 같아 보이지만, 당시 독일 국채 10년물 금리 연동 DLF 전체 판매잔액의 예상손실액이 95.1%(1204억 원)에 달하는 것으로 알려졌는데, 이것은 원금 1266억 원이 1년도 채 되지 않아 62억 원으로 줄었다는 것을 의미한다. 실제 투자자들의 손실 규모는 최소 34.9%에서 최대 98.1%까지라고 알려져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