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창용 더밸류뉴스 편집국장

1997년 IMF구제금융을 촉발시킨 '외환위기로 인한 국가부도 상황'이 재발할 것인가? 이 물음엔 30년 경력 경제 산업 취재기자도 선뜻 '아니'라고 부인하기 어렵다. 현재 돌아가는 국내외 경제 산업계 분위기는 1997년과 너무 흡사한 조건이 만들어지고 있기 때문이다.

1997년으로 돌아가보자. 당시 김영삼 정권 말기 기아자동차는 국제 경쟁의 격화와 경기침체, 계열사의 부실한 경영 실적 등으로 1997년 봄부터 위기설에 휩싸이다가 결국 1997년 7월 15일 부도유예협약 적용대상이 된다. 이후 28개 계열사를 14개로 줄이고, 기아차노조가 무분규, 임금동결 선언을 하는 등 자구책을 마련했으나 결국 그해 10월 법정관리로 넘어가고 김선홍 회장 등 경영진은 완전 퇴진하게 된다. 곧바로 덮친 IMF 외환위기의 혼란 속에 여러가지 시나리오가 제시되지만 결국 1998년 10월 국제입찰을 통해서 1999년 현대자동차에 매각된다. 당시 기아차 노조는 민주노총의 핵심 강성노조로 유명했다. IMF외환위기를 촉발한데 한 몫을 한 '1997년 1월 노동법/안기부법 날치기에 항의하는 총파업'을 주도한 것도 기아차 소하리(광명) 공장이다. 현대차 노조를 포함해서 다른 곳이 머뭇거릴때 제일 먼저 파업을 개시한 것이다. 이런 노조가 풍전등화의 매각 위기에 처하자 무분규 선언을 할 정도였다. 당시 기아차의 최대주주(각 14%)는 종업원으로 구성된 우리사주조합과 포드사였다. 하지만 결국 기아차는 IMF 국가 위기를 틈타 매각되고 만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