질서 없이 쌓여있는 적재물로 비상시설물을 찾기 힘들었던 전통시장 등 미로같이 복잡하고 위험했던 공간이 `유니버설디자인`을 입고 누구나 안전하게 걷고 편안하게 휴식할 수 있는 공간으로 변신했다.

유니버설디자인은 성별, 연령, 신체상태, 문화적 배경 등과 상관없이 모든 사용자를 고려한 디자인을 말한다.

화곡중앙골목시장 개선 전, 개선 후 (사진=서울시)

서울시는 `공공공간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사업`으로 ▲주거지역, 종로구 충신동 충신윗성곽마을 ▲전통시장, 강서구 화곡동 화곡중앙골목시장 ▲공개공지, 금천구 가산동 가산디지털단지역 주변 등 3개 지역의 환경 개선을 완료했다고 14일 밝혔다.

구릉지 주거지역인 `충신윗성곽마을`엔 야간에도 안전하게 계단을 오갈 수 있도록 낡은 계단을 정비하고, 야간조명과 물결형태의 안전손잡이를 설치했다.

`화곡중앙골목시장`은 큰 글자, 그림문자, 조명 등을 활용한 안내사인으로 재정비해 먼 거리에서도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했다.

`가산디지털단지역 주변`은 인근 직장인들의 흡연장소로 이용됐던 공개공지에 벤치와 나무가 있는 쾌적한 휴게시설을 만들어 다양한 시민들이 이용할 수 있도록 했다.

서울시는 시민들이 일상에서 매일같이 접하는 공간에서 안전을 위협받거나 불편을 겪는 문제를 디자인을 통해 줄여나가기 위해 2015년부터 `공공공간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사업`을 실시하고 있다.

그동안 경로당, 보건소 등 8개소를 개선했으며, 그 과정과 적용사례는 가이드북으로 제작‧배포해 타 기관과 민간 확산을 유도 중이다.

충신윗성곽마을은 구릉지에 위치한 주거지역으로 급한 경사로와 계단이 많아 보행 중 낙상사고가 빈번했고, 복잡하게 얽힌 골목길로 인해 주민들이 길을 헤매는 일이 자주 발생하는 지역이었다.

이에 시는 `관리형 주거환경개선사업`과 연계해 가장 열악한 구간을 개선했다. 좁고 어두운 골목계단을 정비하고 조명, 손잡이를 설치해 낙상사고를 예방하고, 복잡한 골목길 정보를 직관적으로 알 수 있는 `마을 안내지도`를 설치해 쉬운 길 찾기가 가능해졌다.

중간지대 없이 차도와 곧바로 이어져 위험했던 골목길 입구에는 마을경관과 어울리는 게이트를 설치해 보행자와 차량 간 충돌사고를 예방한다.

또한, 화곡중앙골목시장은 마을로 접근하는 진입로이지만 보행로를 침범하는 매대와 적재물 때문에 걷기 불편했고, 무질서한 간판으로 길 안내 표지판이나 비상시설을 쉽게 찾기 힘든 환경이었다.

시는 `전통시장 연계형 도시재생사업`과 연계해 시장길 내부를 개선했다. 적치물 등 장애물이 보행을 방해하지 않도록 점포와 보행로 사이를 분리하는 보행안전시설을 설치하고, 안내사인을 재정비해 방문객들이 주요 시설을 쉽게 찾을 수 있도록 했다.

가산디지털단지역 일대는 G밸리에서 가장 유동인구가 많은 곳이지만, 공개공지는 접근이 어렵거나 보행로와 구분되지 않아 편하게 쉴 수 있는 공간이 부족했다. 아울러 지하철역 출구에서 버스정류장까지 가는 환승구간에는 장애물이 많아 연속적인 보행이 어려웠다.

가산디지털단지역 일대 개선 전, 개선 후 (사진=서울시)

이에 따라 시는 버스 정류장까지 끊김 없는 이동이 가능하도록 바닥 단차를 없애고, 보행구간 일부에는 캐노피 시설을 설치해 눈‧비 등 궂은 날씨에도 편리하게 이동할 수 있도록 했다. 공개공지는 휴식‧소통의 제 기능을 회복하도록 다양한 이용자를 위한 휴게공간으로 바꿨다.

서울시는 이번에 사업을 완료한 3개 지역과 유사한 유형의 다른 공간에서도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할 수 있도록 유형별 가이드북을 제작하고, 관련 부서에서 지침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배포할 예정이다.

한편, 서울시는 올해는 송파구 잠실동 2~8호선 지상철 주변 보행로를 대상으로 `공공공간 유니버설디자인 적용사업`을 추진 중이다. 방음벽과 철도시설로 인해 폐쇄적이었던 보행로에 유니버설디자인을 적용해 안전하고 안심되는 보행공간으로 조성, 연말까지 완료할 예정이다.

이혜영 서울시 디자인정책과장은 "공공공간은 시민 누구나 안전하고 편리하게 이용할 수 있어야 한다"며 "일상에서 만나는 더 많은 곳을 발굴해 소외되는 시민 없이 누구나 누릴 수 있는 유니버설디자인 도시를 만들어 나가겠다"고 말했다.